(+) 1847 Liszt Liebestraum No 3 in A flat

☆ 1847 Liszt Liebestraum No 3 in A flat

– Fryderyk Chopin(1810-1849): 폴란드
– Piano: Artur Rubinstein(1887.1~1982.12): 폴란드
부모는 폴란드계의 유대인으로서 루빈스타인의 재능을 일찍부터 알아차린 아버지는 바르샤바의 로지츠키에게 루빈스타인을 부탁했다. 그는 로지스키에게 사사한 뒤 베를린으로 이주, 대바이올리니스트인 요아힘의 추천으로 20세기초 독일에서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라는 바르트(Karl Heinrich Barth:1847-1922)에게 사사받았으며, 로베르트 칸(R.Kahn)에게 이론을 익혔다. 그의 나이 11세에 요아힘의 지휘로 모차르트 협주곡을 연주하여 정식으로 데뷔하였고, 그 뒤로는 독주자로서 구미 각국을 순회하였다.
그의 연주는 화려하고 정력적이며, 세련된 맛이 가미된 고급스런 분위기를 풍긴다. 쇼팽, 러시아, 스페인 계통의 연주는 물론 브람스나 베토벤의 작품 역시 경지에 다다랐고, 드뷔시 등의 근대 음악에도 소화 능력이 대단하다. 확실히 그는 당당한 대가임이 틀림없다.

– 왈츠 “강아지”
평생을 21곡의 피아노 왈츠를 작곡한 쇼팽은 감상적인 왈츠만을 주로 썼다. 대개의 왈츠를 분석해 보면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그 중의 하나는 춤을 추기 위한 것으로 J.슈트라우스의 작품이고, 나머지 하나는 감상을 위한 것으로 쇼팽의 작품을 들 수 있다. <강아지 왈츠>도 마찬가지로 후자에 속한 작품으로 쇼팽의 작품 중 가장 사랑스런 피아노 소품이다. 1847년에 작곡되어 델피느포드 가 부인에게 바쳐졌다.
이 곡은 쇼팽의 애인 조르주 상드가 강아지 한 마리를 기르는데, 그녀가 외출을 했다 돌아오면 자기 꼬리를 쫓아 빙글빙글 돌며 반겨 주었다. 상드는 이 모습이 너무도 귀여워 음악으로 그려줄 것을 쇼팽에게 부탁하여 만들어졌다고 한다.

—————–
VALSE NO.6 IN D FLAT MAJOR PETIT CHIEN OP.64-1
KLAVIER

Claudio Arrau plays Liszt Liebestraum No.3 in A flat
Litsz music
Valentina Lisitsa: Franz Liszt - Liebesträume No. 3 in A-flat major, (Love Dream)
Franz Liszt: Liebestraum No. 3 in A-Flat Major, S. 541 / 3